티스토리 뷰
어떻게 생각하면 당연하다고 할 수도 있지만 이제야 깨닫고 적용하게 된 것 같다.
이전에는 테스트를 어떤 "서비스"가 제대로 동작하는지, 더 세분화해도 캘린더를 예로 들면 '반복 일정 중 수정된 일정을 공유' 처럼 이런 시나리오를 적어서 확인했다면, 이제는 테스트 코드를 만들어서 true/false를 판별하는 것과 같이 어느 유저의 어느 룸, 어느 캘린더에서 어느 일정을 어떤 데이터를 담아서 보내고 어떤 것을 받아야 하는지 더 자세하게 데이터 단위로 명시해놓고 해야겠다.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fetchResults
- 암호화
- Encoding
- 메모리 릭
- 사고..
- 코테 log
- Java
- ActiveAdmin
- point
- IntelliJ
- 이펙티브자바
- DesignSystem
- TroubleShooting
- 이벤트스토밍
- Git
- sort algorithm
- effective-java
- SQL 전문가 가이드
- gitignore
- 실용주의
- querydsl
- ASCII
- aws
- Lombok
- Spring-Boot
- WebClient
- SHA
- annotation
- Generic
- ruby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글 보관함